『우리와 그들, 무리짓기에 대한 착각』, David Berreby, 정준형 옮김, 애코리브르, 2007

평소의 다독(多讀) 습관 때문일까? 나의 삶에 영향을 미친 책이라거나 추천할 만한 책을 묻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곤혹스럽다. 답을 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도 “좌우지간 많이 읽으라”고 주문할 뿐, 특정한 책을 읽으라고 말한 적이 없다.
그러고 보니 나의 그런 ‘취향’이 지금의 내 생각이나 심정과 잘 맞아떨어진다. 요즘 내 머리를 지배하는 의제는 ‘편가르기’에 대한 혐오와 저주다. 이건 나의 경험 탓이다. 매우 양심적이고 정의롭고 헌신적인 사람들이 ‘편가르기’의 포로가 되어 폭력적인 광신도로 전락하는 걸 많이 지켜보았기 때문이다. 전엔 열정을 예찬했지만, 이젠 열정이 무섭다. 열정과 광신의 거리가 그리 멀지 않았다는 걸 절감했기 때문이리라.
어쩌면 ‘늙은’ 탓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늙었건 젊었건, ‘편가르기’엔 혐오와 저주를 보내는 게 모든 이들의 행복을 위해 필요하지 않을까? 자신이 소속된 ‘편’이나 ‘패거리’ 내부에서 만끽하는 행복은 반드시 남의 불행을 전제로 한다는 걸 깨닫는 게 좋지 않을까? 이런 문제의식에 잘 부합하는 책이 데이비드 베레비(David Berreby)의 『우리와 그들, 무리짓기에 대한 착각』이다.
이 책의 장점은 그간 우리가 믿어온 상식의 전복을 과감하게 시도했다는 점이다. 우리는 유유상종(類類相從)을 거의 진리처럼 믿지만, 과연 그럴까? 서로 비슷한 사람들과 한패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더라도, 중요한 건 한패가 되고 나서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다.
노무현 정권 시절에 극성을 부렸고 이명박 정권 들어 극단을 보이고 있는 이른바 ‘코드 인사’를 보자. ‘코드’는 이념과 정치적 성향이기 때문에 ‘코드 인사’는 꼭 필요하다는 게 두 정권 인사권자들의 한결같은 주장이었다. 과연 그런가? 거칠게 표현하자면, ‘개소리’라고 일축하는 게 좋다. 코드의 본질은 연고·정실·이해관계이며, 이념과 정치적 성향은 부수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무수히 많은 증거들이 매일 언론매체를 통해 쏟아져 나오지 않는가. 베레비의 다음과 같은 주장이 가슴에 와 닿는다.
“사상이 일단 깃발이 되고 나면 더 이상 자유로울 수 없다. 우선 그것을 사용하려면 대가를 치러야 한다. 즉 그 사상이 대변하는 인간 부류를 거부하는 사람들과 갈라서게 되는 것이다. 사상 자체도 자유로운 길을 택할 수 없다. 생각을 바꾸고자 하면, 인간 부류의 코드가 함께 싸우는 형제들을 배신하는 행위라고 말한다.”
이념과 정치적 성향이 다르더라도 그것이 ‘편가르기’와 그에 따른 ‘승자 독식주의’ 체제를 정당화하진 못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화이부동(和而不同)이다. 더불어 같이 살아야 한다. 싫은 사람, 미운 사람도 손잡고 같이 가야 한다. 어려울수록 더욱 그렇게 해야 한다. 화이부동의 정신으로 충만한 젊음과 늙음을 꿈꿔본다.
강준만 교수┃사회대·신문방송
저작권자 © 전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