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증가 추세… 지자체 지원 절실

은둔형 외톨이는 집안에만 칩거한 채 가족 이외의 사람과는 인간관계를 맺지 않고 보통 6개월 이상 사회적 접촉을 하지 않은 이를 말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고립·은둔 청년 현황과 지원방안’ 보고서를 살펴보면, 지난 2019년 34만 명이었던 우리나라 은둔 청년은 지난 2021년 53만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둔형 외톨이를 향한 사회적 관심은 증가하는 반면, 은둔형 외톨이 감소를 위한 해결 방안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지자체마다 은둔형 외톨이의 단절 기간 기준 역시 3개월에서 6개월 이상으로 제각각이다. 김서현(사회대·사회복지) 교수는 은둔형 외톨이의 선제적 사례발굴과 사회 복지적 개입 활성화를 위해선 이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은둔형 외톨이의 현황을 공식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확보돼야 한다”며 실태조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혜자(사회대·심리) 교수는 일본의 사례를 들며 은둔형 외톨이를 개인의 문제로 보기보다 개인과 지자체, 정부 등이 함께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 문제가 심각해지자 일본은 지난 2021년에 <외로움·고립대책의 중점계획>을 수립해 관리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지난 2019년 전국 최초로 은둔형 외톨이에 관한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광주광역시는 지난 2020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지난해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운영을 시작했다. 이외에도 서울, 부산 등을 비롯한 일부 지자체도 지난 2019년부터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마련하고 있다. 강혜자 교수는 “제도적 대응에 비해 실질적인 지원 대책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전라북도는 지난해 11월 11일에 ‘전라북도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지원 사업의 예산은 반영조차 하지 않은 상태다. 전북도청 사회복지과 관계자는 “시기적으로 예산을 편성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전라북도가 은둔형 외톨이 지원 사업에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니다. 전라북도는 은둔형 외톨이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시·군 및 관련 기관들과 함께 토론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김서현 교수는 “지자체 주도의 정기적 실태조사는 물론,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지원센터 개설 및 운영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은둔형 외톨이가 되지 않도록 사전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춘기와 청년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상처, 좌절, 외상 등이 은둔형 외톨이로 이어지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했다. 사후적 측면으로는 은둔형 외톨이를 경험한 당사자들이 자조 집단 형태로 서로 치유하고 소통하며 사회적 관계 회복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 방법의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다현 기자 dhlee23@jbnu.ac.kr
이예령 기자 2.to0@jbnu.ac.kr

저작권자 © 전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